Life short story

[Pet] 반려견 강아지 입양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🐶🐶

상하이 빵변 2025. 2. 21. 13:30
반응형
SMALL

 

 
1. 여러 가지 입양 경로 
 
1) 펫샵: 제일 권장하고 싶지 않은 방법이지만, 저도 예전에 잘 모를 때는 강아지를 펫샵에서 데려온 적이 있습니다. 펫샵에 가면 강아지의 상태를 직접 보고 데려올 수 있고 펫샵에서 강아지 용품을 같이 구매할 수 있습니다. 만일 분양받은 반려동물에 대해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법적인 분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. 
 
2) 동물병원: 동물병원에서 입양을 진행하게 되면 예방접종이나 검진, 수술 등과 연계된 편리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 
 
3) 유기견 센터: 유기견 입양은 강아지와 주인에게도 모두 뜻 깊고 좋은, 권장하고 싶은 방안이죠. 센터 홈페이지에 가시면 보호하고 있는 강아지의 특징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 (반려마루 화성 네이버 예약 페이지: https://booking.naver.com/booking/6/bizes/824323  등) 센터에서 기본검진이나 중성화 수술, 유기견 사회화 트레이닝까지도 시켜준다니, 유기견 입양 시스템이 참 잘되어있다는 생각이 드네요.
 
4) 온라인 까페 : 온라인 까페를 검색하여 개인이 임시 보호하고 있는 강아지가 있거나, 강아지를 키우다가 사정상 타인에게 보내려는 사람이 있으면 서로 연락을 취하여 합의 하에 데려올 수 있습니다. 전 보호자에게 암컷인지 수컷인지, 강아지 연령은 얼마나 되었는지, 중성화 수술을 받았는지, 배변 훈련이 되어 있는지, 건강상태는 어떤지 등 강아지에 대해 궁금한 점에 대해 물어볼 기회도 있습니다. 
 
5) 이 밖에도 동물단체(카라 홈페이지 https://www.ekara.org/introduce/cafe) 가정 분양 등 다양한 입양 루트가 있습니다. 
 
2. 입양 전에 고려할 사항 
 
1) 강아지가 지낼 공간과 준비물 마련: 강아지가 와서 주로 지낼 공간이나 화장실(배변 장소)을 확보하였는지 미리 체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 그 밖에 준비물로는 강아지 이동장(필수인 거 같네요)/ 강아지 쿠션/산책줄(하네스 등 종류가 다양) / 연령에 맞는 사료, 간식 및 사료통, 물통(키높이에 맞는 급식대)/강아지 배변패드, 강아지 샴푸, 발톱깎기 등 위생용품/강아지 장난감, 등이 있습니다. 매월 일정한 지출(사료비/병원비/미용비 등)이 발생하는 부분도 미리 생각하여야 합니다. 2023년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, 반려동물 한 마리를 기르는 데 드는 비용은 병원비를 포함해 월평균 약 13만원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. (반려동물의 의료비 지출을 대비한 펫보험도 있지만 보험 가입 비율이 높지는 않습니다. 아래 홈페이지 참고)  
 
 - DB 손해보험 (펫블리 타운)
https://idbins-promotion.com/insurance/petvely.do?utm_source=google&utm_medium=search_ad&utm_campaign=petvelytown&gad_source=1&gclid=Cj0KCQiAwtu9BhC8ARIsAI9JHamkWROUggCFsRDai4ZEDlNeVvzOBu5OfmQyW0Iec2a28ysIslxx2uIaAmVVEALw_wcB

 

펫블리타운

이름이 없어도 문제, 너무 귀여운 것도 문제다!

idbins-promotion.com

 
- KB 손해보험 (금쪽같은 펫보험)
https://www.kbinsure.co.kr/CG313010001.ec

 

KB 금쪽같은 펫보험(강아지)

국민의 평생 희망파트너, KB손해보험

www.kbinsure.co.kr

 
2) 가족들의 전원 동의가 있는지: 가족구성원 중 한 명이라도 반대하면 강아지를 키우면서 예상치 못한 트러블이 생길 수 있습니다. 그래서 누가 밥을 주고 산책이나 목욕을 시킬 건지 사전에 역할 분담을 나눠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. 가족 여행을 갈 때는 누군가에게 잠시 맡기거나, 애견 호텔을 이용해야 할 수 있는데, 이런 부분들도 어떻게 할 건지 가족들과 미리 상의해보면 좋을 거 같습니다.  
 
3. 입양 후 해야할 사항
 
1) 동물 등록 시스템: 2014년 1월 1일부터 의무시행 중인 동물 등록제에 의하면, 등록대상동물(주택/준주택에서 기르거나 그외 장소에서 기르는 월령 2개월 이상의 개)을 가까운 시/군/구청에 등록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  내/외장형 마이크로칩 중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(아래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홈페이지 참고)
https://www.animal.go.kr/front/community/show.do?boardId=contents&seq=66&menuNo=2000000016
 
2) 정기적인 건강 체크 & 미용: 가까운 동물병원에서 주기적으로 반려견의 건강을 확인하고 수술이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. 또한 가까운 애견 미용실에서 강아지 상태에 맞도록 미용/털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. 
 
모쪼록 입양은 신중히 결정하시고 어여쁜 댕댕이들과 오래도록 행복한 시간 가지시길 바랍니다..!!
 

반응형
LIST